예거의 가르침 - 프롤로그1
3월 2일, 오늘도 설렘과 걱정을 한 아름 안고 교실로 향했다. 매년 겪는 일이지만 그게 그렇게도 불편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앉아 아이들을 만나기에는 설렘이 부족하고 그렇다고 어디 숨어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 사이 아직도 3학년 티를 벗어내지 못한 아이들이 하나둘씩 들어왔다. 나를 보면 짧은 탄식으로 자신의 마음을 알게 모르게 터놓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나의 존재에 관심조차 없는 아이들도 있었다. 또다시 문이 열리고 차분하게 질끈 묶은 머리에 수없이 빠져나온 잔머리를 귀찮아하듯 작은 손으로 쓸어 넘기며 한 아이가 들어왔다.
자기소개 활동을 통해 서로를 조금씩 알아갈 때쯤 나는 적잖이 놀랐다. 누군가에게 취미와 특기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인 나조차도 쉽지 않다. 취미라고 하기에는 뭔가 부족하고 특기라고 하기에는 내세울 만한 게 없다. 그래서 제일 만만하게 독서, 게임, 운동으로 얼버무리고 만다. 독서라고 하기에는 책을 멀리하지만 확인한 바 없고, 틈만 나면 핸드폰 붙잡고 있으니 게임이 취미일 테다. 숨쉬기도 운동이면 취미이자 특기가 맞다. 그러나 그 아이의 취미와 특기는 다른 아이들과 조금 달랐다.
자기소개서를 읽고 나도 알게 모르게 그를 기대하게 되었다. 갓 4학년짜리가 취미와 특기가 그것이라면 대단한 능력일 것이다. 교과 활동에 나와도 고학년 아이들도 어려워한다. 아니 중고등학생들도 만만하게 접근하지 못한다. 더욱이 심오한 작업을 요구하는 일이라 정신적인 노동도 대단할 터인데 이 작은 아이가 그런 일을 즐겨한다니 너무도 특별한 일이었다. 아이의 능력이 너무도 궁금해 참을 수가 없었던 나는 아이에게 특별 숙제를 하나 내었다. 짧은 망설임조차 없이 알겠다고 대답한 나의 질문은 “선생님한테 시 한 편 써줄래?”였다.
아이의 자기소개의 수많은 칸 중 무려 두 칸을 채운 단어는 바로 ‘시쓰기’였다. 15년간 교직 생활을 하면서 시를 쓴다는 아이는 이 아이가 처음이었다. 내 모든 인맥을 총출동해도 내 주변에서 시를 즐겨 쓰는 사람 딱 둘뿐이다. 문학에 관심이 있던 나는 아이의 시가 너무나도 궁금했다. 이 아이는 무슨 이야기를 그리도 하고 싶을까? 국어 시간에 시가 나올 때마다 ‘시는 글로 다른 사람 머릿속에 그림을 그려주는 일이야’라고 말하던 나이다. 아이가 내 머릿속에 그려줄 그림이 무척이나 궁금했다. 그렇게 아날로그 시대 연애편지의 답장을 기다리듯 아이의 시를 기다렸다.
그리고 다음 날 난 A4 용지에 쭈글쭈글하게 적힌 시 한 편을 받았고, 두 번의 충격을 더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