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ember0416] 잊지 않겠습니다.
2014년 4월 16일. 수요일.
평소와 다를 바 없는 하루였습니다. 전담을 할 때였고 그 당시 수요일에는 수업 시간이 적어서 다른 때보다 여유가 있었습니다. 점심시간이 되기 전 학생들이 탄 여객선이 침몰했다는 소식을 듣고 “에고 또 사고가 났네. 별일이야 있겠어. 다치거나 죽는 사람들이 다소 발생할 순 있겠지만 질서 잘 지키고 안내해주는 데로 움직이면 금방 구조하겠지.”라고 생각하면서 하루를 보냈습니다. 얼핏 전원구조가 되었다는 기사를 보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무 생각 없이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뭔가 이상했습니다. 분명히 오전에 사고 소식을 들었는데 저녁이 될 때까지 사고 수습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들리지 않는 것입니다. 퇴근을 하고 밤 늦게 집에 들어와서 뉴스를 보았는데 제가 본 것은 배가 잠기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리고 구조된 인원은 늘어나지도 않고 세월호가 잠긴 모습의 화면만 끊임없이 나오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세월호가 바다에 가라앉는 장면을 보고만 있었습니다.
현실에서 일어나는 일이 아닌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한동안은 뉴스만 멍하니 보면서 지내기도 하고 아예 뉴스와 신문기사를 멀리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렇게 마음만 아파하다 1년이 흘렀습니다.
작년 1주기에는 제 마음이 너무 무거워져서 세월호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참 두려웠습니다. 계기교육을 하려고 동영상을 함께 보다가 제가 마음이 너무 무거워진 탓에 눈물도 흘리고 전달하고 싶은 이야기를 진행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슬퍼하는 것을 넘어서 아이들과 무엇이라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슬퍼하기만 해서는 더 나아가지 못하니깐요.
그렇게 올해 세월호 계기교육을 생각하다가 이은진 선생님의 글을 읽고나서 추모뿐만 아니라 안전할 권리를 아이들과 나누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은진선생님: 여러분의 학교는 안전합니까?
http://educolla.kr/bbs/board.php?bo_table=Author_LeeEunjin&wr_id=20&page=2)
그래서 제가 준비하고 있는 수업을 수업 전에 먼저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은진쌤이 나누신 수업을 조금 변경해 보았습니다.)
1. 동기유발.
: 2, 9, 304, 416
이 숫자들을 던져주고 이 숫자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합니다.
(2는 세월호 사고 2주기, 9는 아직도 찾지 못한 실종자의 수, 304는 세월호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사람의 수, 416은 세월호 사고가 일어난 4월 16일)
그리고 세월호에 대한 이야기를 아이들과 함께 나눕니다. 아이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알아봅니다.
2. 추모의 시간
: 아직 돌아오지 못한 9명과 304명의 사람들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그래서 작년에 읽었던 기사의 일부분을 인용하여 313명의 이름을 아이들과 돌아가며 읽어보려고 합니다. 아이들이 많은 사람이 죽은 안타까운 사고라고는 생각하겠지만 한 생명을 가진 우리의 이웃이었다는 것을 체감하지 못할거란 생각이 들어 같이 이름을 읽어주고 기억해보려고 합니다.(저희반 아이들이 저와 함께 나누어 읽으면 한사람이 10명씩 읽어도 모두의 이름을 읽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추모의 의미로 세월호를 끌어올리는 나비 만들기 활동을 합니다. 검은 도화지를 배경으로 놓고 배와 나비를 함께 만들어 보려 합니다.
SNS를 통해 본 영상을 가지고 포스트잇 나비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함께 추모의 시간을 가집니다.
(첨부파일에 PPT로 나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해 놓았습니다.)
3. 안전할 권리
: 저는 지금 6학년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지금 국어수업에서 4단원 면담하기를 뒤로 미루고 5단원 광고 수업을 먼저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단원과 연관지어 안전할 권리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우리 주변의 공간을 생각해볼 시간을 갖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안전할 권리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고 이를 알릴 수 있도록 공익광고를 만들어 학교에 게시하는 활동을 해보려고 합니다.
얼마 전에 이오덕 선생님의 책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을 읽다가 많은 생각을 하게 한 구절이 있습니다.
「나는 우리 아이들이 건강과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서, 비록 선생님의 명령일지라도 분명히 잘못되었다면 무조건 명령에 따라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부모들이나 선생님 자신이 가르쳐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마 예전에 이 글을 읽었다면 다른 생각을 했을 것 같지만 지금 저에게는 세월호를 말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 모두가 잊지 않고 행동하기를.
자신의 안전을, 사회의 안전을 함께 지킬 수 있는, 우리 모두가 자신의 자리에서 자신의 책임을 다 할 수 있는, 그것이 당연한 시대가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