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있는 교실을 찾아서 part 2] 질문에도 수준이 있다? 매슬로우로보는 질문있는 교실의 조건
지난 시간에 진짜 질문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 해 보았습니다.
질문이란 내가 알고자 하는 것을 물어보는 것이므로
내가 의미를 느낄 수 있는 질문은 무엇이든 진짜 질문이 됩니다.
그러므로 질문의 가치는 모두가 같습니다. 귀한 질문과 천한 질문으로 나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여덟개의 질문들이 모두 진짜 질문이라고 보았을 때
그 질문들의 수준이 모두 같냐고 물어본다면 그것에 섵부르게 동의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확실히 수준이 낮아보이는 질문도 있고, 수준이 높아보이는 질문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질문의 수준은 정말 있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수준이 높은 질문은 무엇일까요?
그래서 이번에는 질문의 수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의 수준을 이야기하려면 가장 먼저 질문을 어떤 기준으로 수준을 분류할 수 있는가를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질문 수준의 기준을 이야기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질문을 왜 하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사람들은 질문을 왜 할까요?
사람들이 질문을 하는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모두들 다음의 공통점을 가집니다.
시험준비를 하는 학생은 시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생님에게 질문을 합니다.
배가 고픈 학생은 물건의 가격을 '알기 위해서' 질문을 합니다.
불행한 사람은 행복'하기 위해서' 행복이 무엇인가를 물어봅니다.
즉 사람들은 내가 원하는 무언가를 얻기 또는 해결하기 위해서 질문을 합니다.
그러므로 질문은 궁극적으로 나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질문을 한다는 것은 나의 욕구를 충족하는 과정입니다.
그러므로 질문에 수준이 있다면 그것은 지금 내가 무엇을 원하는 가에 대한 수준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다시말해서 질문 자체에서 수준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질문의 기저에 깔린 욕구가 어디에 향해있는가를 생각하는 것이
질문의 수준에 가장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욕구에 대하여 많은 이야기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이론으로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 또는 7단계)라고 불리는 욕구위계설이 있습니다.
욕구위계설이란 낮은 단계에 있는 욕구는 낮은 수준이지만 강력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욕구를 위해서는 낮은 단계의 욕구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결핍 욕구> - 충족되지 않으면 충족동기가 강해지고 충족되면 약해집니다.
1. 생리적 욕구 - 식욕, 수면욕, 성욕등 동물적 욕구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의식주에 대한 욕구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2. 안전의 욕구 - 위기와 위협으로부터 보호 공포 무질서, 제약등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구입니다.
3. 애정 및 소속의 욕구 - 타인과의 만족스러운 관계의 욕구로 사회적 욕구라고도 합니다.
4. 자존의 욕구 - 자신감과 성취감을 맛보고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존경의 욕구입니다.
<성장 욕구> - 층족하면 충족할 수록 더욱 많은 충족을 위한 동기가 부여됩니다.
5. 인지적 욕구 - 모르는 것을 이해하고 탐구하고자 하는 욕구로 호기심, 탐험, 의미추구가 해당됩니다.
6. 심미적 욕구 - 자연과 예술에서 질서, 조화, 미적 감각을 추구하는 욕구입니다.
7. 자아 실현의 욕구 - 자신의 발견과 잠재력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로 '하고자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을 꿈꾸는 욕구입니다.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학습에 충실하고 학습 자체에 대하여 의미를 얻기 위해서는
결핍욕구에 머무르지 않고 성장 욕구로 발전시켜야 합니다.
결핍욕구는 동기요소가 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곳에 있고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언제든 떨어질 수 있다는 위험요소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결핍욕구가 최대한 충족된 상태가 되어야 학생들이 학습에 충분히 집중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의 목적이 '선생님에게 칭찬받고 싶어서, 보상을 받으려고'에 머무른다면 그 사람은 진정으로 배움에 빠지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학생이 학습에 대한 성장욕구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1. 생리적 욕구 - 학급 학생들에게 최소한의 의식주에 대한 고민을 덜어줍니다.
2. 안전의 욕구 - 학생이 교실에서 받을 수 있는 위협을 덜어줍니다. 그래서 우리반은 정서적으로 안정된 반이 될 수 있도록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
-> 학생들의 발전에 학교폭력은 가장 큰 적 중 하나입니다. 학교 폭력이 일어난 반은 어김없이 선생님도 학생들도 교실이 싫어지더군요.
3. 애정 및 소속의 욕구 - 학생이 선생님과 다른 친구들을 그리고 우리반을 좋아해야 합니다.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통한 학급 구성원으로써의 자부심을 갖게 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런 공동체의식은 학급의 유기적 성장의 가장 큰 촉매제가 됩니다.
4. 자존의 욕구 - 결과가 아닌 과정에서 의미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결과에 중점을 둔 활동은 모든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심어주기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과정에 중점을 둔다면 '즐기면서 열심히만 하면' 모두 성공할 수 있으므로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요컨데, 안전해야 한다고 학생들에게 강조하며 안전할 수 있는 지식을 가르쳐 주는 학교와
굳이 안전하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안전하다고 느끼며 하고 싶은 공부를 마음껏 하는 학교 중
더 학생들의 수준있는 질문을 도울 수 있는 학교는 당연히 후자입니다.
하지만 이런 교실이 된다고 해서 학생들의 질문의 수준이 무조건 높아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러므로 다음시간에는 질문을 선생님이 보는 눈에 닿게끔 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